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협정별 원산지결정기준

HS 기준 안내 (FTA 협정문 기준)

HS기준안내
- 칠레 싱가
포르
EFTA ASEAN 인도 EU 페루 미국 튀르
키예
호주 캐나다
중국 뉴질
랜드
베트남 콜롬
비아
중미 영국 RCEP 이스
라엘
캄보
디아
인도
네시
필리핀
원산지 결정기준 2012 2012 2017 2017 2007 2007 2007 2012 2007 2012 2012
2012 2007 2017 2012 2012 2007 2022 2012 2017 2017 2017
수입시 세율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2025

협정별 원산지결정기준 조회는 개별 협정에서 이행하고 있는 HS 버전을 기준으로 안내됨. 따라서 각 협정에서 운영하고 있는 HS 버전의 세번(6단위)을 입력하여 조회해야 함
☞ 아래의 협정별 이행 「HS 기준 안내(FTA 협정문 기준)」을 참고하시어 정확한 HS 코드 입력 필요
☞ 예: 한-칠레 FTA는 HS 2012 버전 이행 중(현행 HS 2022 버전에만 존재하는 세번 입력 시 조회 되지 않음)

Guide

EFTA(4개국)

스위스(Switzerland), 노르웨이(Norway), 아이슬란드(Iceland),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

ASEAN(10개국)

말레이시아(Malaysia), 싱가포르(Singapore), 베트남(Vietnam), 미얀마(Myanmar), 인도네시아(Indonesia), 필리핀(Philippines), 브루나이(Brunei), 라오스(Laos), 캄보디아(Cambodia), 태국(Thailand)

EU(27개국)

오스트리아(Austria), 벨기에(Belgium), 체코(Czech Republic), 키프로스(Cyprus), 덴마크(Denmark), 에스토니아(Estonia), 핀란드(Finland), 프랑스(France), 독일(Germany), 그리스(Greece), 헝가리(Hungary), 아일랜드(Ireland), 이탈리아(Italy), 라트비아(Latvia), 리투아니아(Lithuania), 룩셈부르크(Luxembourg), 몰타(Malta), 네델란드(Netherlands), 폴란드(Poland), 포르투갈(Portugal), 슬로바키아(Slovakia), 슬로베니아(Slovenia), 스페인(Spain), 스웨덴(Sweden), 불가리아(Bulgaria), 루마니아(Romania), 크로아티아(Croatia)

RCEP(15개국)

한국(Republic of Korea), 중국(China), 일본(Japan), 호주(Australia), 뉴질랜드(New Zealand),말레이시아(Malaysia), 싱가포르(Singapore), 베트남(Vietnam), 미얀마(Myanmar), 인도네시아(Indonesia), 필리핀(Philippines), 브루나이(Brunei), 라오스(Laos), 캄보디아(Cambodia), 태국(Thailand)

FTA포털에서 제공하는 세율 및 원산지결정기준은 법률적 책임이 없으므로 참고사항으로 활용하시고, 보다 정확한 내용은 FTA 협정문 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nformation provided on the FTA Portal is for reference only as they are not legally binding. For more details, please refer to the Free Trade Agreements.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